모더나 백신 접종횟수 간격
50대 백신종류가 모더나로 결정이 되면서 모더나 백신 접종횟수, 접종간격, 부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궁금하실텐데요, 정리해봤으니 정독하시면 도움이 되실거예요!
목차
- 모더나 백신 어느나라
- 모더나 백신 효과
- 모더나 백신 부작용
- 모더나 백신 접종 대상자(+접종시기)
- 모더나 백신 접종횟수(+접종간격)
모더나 백신 어느나라
모더나 백신은 미국에서 개발했습니다. 미국 모더나사와 미국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가 협력하여 개발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입니다.
화이자와 같은 mRNA 백신으로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mRNA(메신저 리보핵산) 형태로 주입해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입니다.
국내에서 4번째로 사용 승인을 받은 백신으로 우리나라는 녹십자가 모더나 백신의 허가 및 유통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가 협력하여 모더나 백신 원액을 국내에서 완제충전하여 위탁생산하게 되었습니다.
모더나 백신 효과
모더나 예방율은 94.1% 로 알려져 있습니다. 높은 예방 효과와 우리 몸에 있는 mRNA를 모방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독성이 없어 비교적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mRNA 방식을 사용한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접종률이 늘어나면서 부작용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모더나 백신 부작용
코로나 백신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2~3일 내로 사라지 것과 달리 모더나 백신 부작용은 4일~11일 사이에 백신 접종 부위에 광범위한 발적과 통증을 동반한 피부 병변이 발생한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 FDA에 의하면, 30세 미만 남성 중에서 드물게 심근염 이나 심낭염이 발병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mRNA 백신 이상반응, 즉 모더나 백신 부작용으로 알려진 심근염은 심장 근육에,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싼 막에 생기는 염증입니다.
미국에서는 지난 4월 이후 mRNA백신 접종 후 심근염이나 심낭염 이상반응 발생이 100만건당 4.1건 정도 발생했다고 합니다.
주로 16세 이상 남자 청소년과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접종 후 4일 내로 증상이 발현되었다고 합니다.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의 발생빈도가 높았다고 합니다.
모더나 백신 접종 후 가슴통증, 압박감, 호흡이 불편하고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리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서 살펴봐야 합니다.
대다수의 경우 치료를 한 후에 빠르게 호전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심근염이나 심낭염을 너무 늦게 발견하면 심부전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숨이 가쁘고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린다면 곧장 병원을 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심근염, 심낭염은 7월 중으로 유럽의약품청, 세계보건기구에서 공식적인 코로나19 예방접종 부작용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모더나 백신 접종 대상자
①60세~74세 (예약취소/접종연기자)
사전예약을 했지만 접종 당일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예약을 취소하거나 연기한 미접종자 60~74세 도 위탁의료기관에서 모더나 백신을 접종합니다.
사전예약 : 7.12~7. 17
1차 접종시기 : 7. 26~7. 31
②50대 (50세~59세) 연령층
일반 국민 중에서 감염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50대(50세~59세 장년층)가 모더나 백신을 접종하게 됩니다.
백신 수급상황에 따라 일정 변경될 수 있으며, 1~2주 간격으로 사전 예약이 진행되며 온라인, 전화 예약을 병행하여 진행합니다.
55세~59세(1962~1966년 출생)
사전예약 : 7. 12~7. 17
1차 접종시기 : 7. 26~8. 7
50세~54세(1967년~1971년 출생)
사전예약: 7. 19~7. 24
1차 접종시기 : 8. 9~8. 21
모더나 백신 접종횟수 2회
모더나 백신은 2차 까지 접종완료해야 하며, 사용가능나이는 18세 이상입니다.
모더나 백신 접종간격 4주(28일)
모더나 백신 접종회수 2회로, 1차 접종 후 4주 후에 2차 접종을 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모더나 백신 접종간격 및 접종횟수, 부작용, 효과 등 정리해보았으며, 유용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뱅크 공모주 청약 일정 방법 (0) | 2021.07.04 |
---|---|
전세 계약 갱신 청구권 거부 기간 5% (0) | 2021.07.04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방법 2유형 1유형 (0) | 2021.07.01 |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연장 (0) | 2021.06.30 |
퇴직금 지급기한 기준 주의사항 (0) | 2021.06.29 |